칼 에드워드 세이건은 1934년 11월 9일에 미국의 뉴욕 주 브루클린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재단사였으며, 어머니는 가정주부로 둘 다 유대계였다고 합니다. 칼 세이건은 어려서부터 명석했으며, 특히나 과학에 소질을 보였는데요. 한 번은 근처에 있는 공립 도서관에서 별에 관한 책을 달라고 했더니 칼 세이건의 수준을 얕잡아본 사서가 별에 관한 책이 아닌 연예계 스타에 관한 책을 꺼내준 일화가 있다고 합니다.
1951년 시카고 대학에 입학한 칼 세이건은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을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합니다. 1959년에는 금성 탐사선인 매리너 호 계획에 도움을 주고 관여를 한 것을 계기로 NASA와 인연을 맺게 됩니다. 1963년에 세이건은 하버드 대학교 천문학 강사로 초청되기도 합니다.
1968년 칼 세이건은 화가인 린다 살츠만과 재혼하고 코넬 대학으로 옮겨 정교수가 됩니다. 1969년의 아폴로 11호 발사에도 관여했지만, 7월 21일 닐 암스트롱이 달에 창륙하던 그 역사적인 순간에는 위가 좋지 않아 수술대 위에 있었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칼 세이건은 소행성대 및 목성을 탐사하고 인류 최초로 태양계를 벗어난 우주선 파이어니어 10호 설계에도 관여를 했습니다. 그 중 외계에 보내는 인류의 메시지를 담은 알루미늄 판을 만들자고 제안하기도 하였습니다. 이 알류미늄 판에는 지구에 있는 남녀의 모습과 태양계에서 지구의 위치를 가리키는 그림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네요.
1976년에는 칼세이건과 공영방송 PBS이 함께 13부작 과학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도 합니다. 1980년 9월 28일에 첫 방영된 코스모스는 큰 화제를 일으켰는데요. 전 세계 60개국에서 6억명의 시청자가 있었으며, 세계 방송 역사상 가장 높은 시청률 중 하나였습니다. 여기서 해설자로 등장한 칼 세이건은 보이저 호의 목성 사진 같은 최신 자료와 다양한 세트를 이용하여 우주와 인간, 과학과 역사, 지구의 미래 등을 흥미롭게 펼쳐 보였는데요.
세이건은 학식은 물론 과학 저술가로도 호평을 받았습니다. 그어 저서인 에덴의 용은 논픽션 부문 퓰리처상을 수상했고, 칼 세이건의 소설인 콘택트는 여러 출판사 간의 경쟁 끝에 당시로선 사상 최대인 200만 달러의 선인세를 받고 더욱 유명해지게 됩니다. 1981년, 세이건은 린다와 이혼하고 코스모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친해진 작가 앤 드루얀과 또 다시 결혼을 하게 됩니다.
이후 칼 세이건은 과학저술은 물론 환경 및 정체 문제에도 관여를 하는데요. 특히나 냉전 말기인 1980년대에 세이건은 미국과 소련 양측에 핵겨울의 위험을 경고하기도 하였으며, 특히나 레이건 정부가 막대한 예상을 들여 추진하던 스타워즈 계획의 맹점을 알리면서 평화적인 사태 해결을 제시하기도 하였습니다.
칼 세이건은 대중적 명성에 못지않게 전공분야에서도 많은 업적을 남긴 과학자입니다. 칼 세이건은 40년이 넘는 활동 기간동안 단독 혹은 공동으로 500편이 넘는 논문과 저술 등의 자료를 발표하였는데요. 이는 약 한 달에 한 편 꼴로 발표한 셈입니다. 엄청난 양이머, 특히나 금성의 온실효과, 화성의 계절 변화 등에 관한 연구는 칼 세이건의 가장 훌륭한 업적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사실 칼 세이건은 개인 연구보다는 NASA의 일원으로 활동하면서 더욱 능력을 발휘하였는데요. 관측보다는 이론을 좋아하는 사람이있고, 한꺼번에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놓고 공동작업 하는 스타일 때문에 그는 누구보다 생산성이 좋고 활동력이 넓었다고 합니다.
1990년대에는 낙태와 종교 같은 논쟁적인 문제에 적극적으로 해결사항을 제시하였으며, 과학자이면서도 합리주의자로 자신의 신념을 세우고 밝히는데 앞장 섰다고 합니다. 1994년에 칼 세이건은 백혈병의 한 종류인 골수이형증이라는 진단을 받게 됩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기독교는 물론이고 힌두교와 이슬람교 성직자들도 칼 세이건을 위 기도하겠다고 선언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불가지론자였던 칼 세이건은 죽음 앞에서도 끝내 자신의 신념을 철회하지 않았으며, 1996년 12월 20일 칼 세이건은 62세를 일기로 사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