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더 존스는 1837년 아일랜드 코크에서 메리 해리스라는 이름으로 태어났습니다. 1830년 5월 1일에 태어났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며 1837년 8월 1일에 세례를 받았다는 사실만 확인됐을 뿐ㅇ니데요.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이 날을 그녀의 실제 생일이라고 간주하기도 합니다. 19세기 후반에, 아일랜드 주민의 대다수는 가난했고 농부들을 사로잡았습니다. 1845년 여름부터 농부들의 주식인 썩어가는 감자의 전염병이 썩기 시작했고 수백만 명이 굶주림과 질병으로 죽었고, 몇 년 동안 수백만 명이 살길을 찾아 신대륙을 찾아 건너갔다고 하는데요.
메리는 캐나다 토론토에서 성장해 사범학교를 다니다가 중퇴합니다. 1860년, 23세의 나이로 미국으로 잠시 교사로 이직하여 후에 의상 제작사를 경영하였는데요. 이듬해 조지 존스라는 엔지니어와 결혼함으로써 메리 해리스가 메리 존스가 되었고, 이후 마더 존스의 이름이 되었습니다. 남북전쟁과 노예해방 등 일련의 큰 사건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평범한 가정주부의 삶에 대한 교육을 받은 연인이었는데요. 30세의 미망인 그녀는 시카고에 가서 의상 제작자로 일했으나 1871년에 재산을 모두 잃었다고 합니다.
1877년 시카고에서 발생한 대규모 파업으로 수백 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직후, 당시 40세였던 메리 존스는 노동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습니다. 나는 그때 그 노동자가 다른 사람의 죄를 위해 고통의 십자가를 져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고 말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마더 존스라는 이름은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60세에 등장하게 됩니다. 1900년부터는 이름에서 메어리라는 이름을 없애고 편지마다 마더라고 서명했다고 합니다. 곧 동지들뿐만 아니라 적들도 그녀를 마더 존스라고 불렀습니다.
마더 존스는 전미광산노조(UMV) 소속으로 광산, 철도, 철강 등 주요 산업에 대한 파업에 관여해 왔습니다. 아직 조합을 결성하지 않은 회사에 몰래 들어가 조직하는 것이 그녀의 의무였는데요. 나이를 감안하면 결코 쉽지 않았지만 때로는 득이 되기도 했습니다. 평범한 할머니가 어떤 노동운동가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인데요. 그녀는 인자한 외모로 아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때로는 육두구미까지 섞어 흠잡을 데 없는 대화를 나누며 신뢰를 얻기도 했습니다. 말과 몸짓, 욕설에 대한 그녀의 열정은 영어를 잘 하지 못하는 외국인 이민자 광부들까지 매료시킬 정도였다고 합니다.
연설은 마더 존스의 가장 큰 무기였습니다. 그는 회의에서 박애주의자로 소개되자 말씀을 바르게 하라, 나는 박애주의자가 아니라 까다로운 사람이다라고 하였으며, 그녀가 기르던 특이한 말들은 노동자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불어넣었습니다. 1890년대 후반부터 1920년대 초반까지 그녀는 주로 탄광 노동자들을 위해 싸웠습니다. 때론 파업이 성공하고 노동자들의 처우가 조금 나아졌지만, 정부의 인정 아래, 주인들에 의해 동원된 민간 경비 요원들이 총을 들고 총을 내려놔, 사망자들이 죽고 파업이 깨지기도 하였습니다. 마더 존스는 집안일에 전념하던 당시의 평범한 여성 모습과는 전혀 달랐다고 하는데요. 그녀는 싸울 때마다 노동자들의 부인들을 불러 한 손에는 갓 태어난 아기를, 한 손에는 걸레를 들고 회사와 싸운다고 묘사했다고 합니다. 또는 그 여자는 오래 전에 중년의 남자 같았고, 체격은 중간쯤 되고 강했지만 뚱뚱하지는 않았으며, 검은 드레스를 입고 있었지만 전혀 이상하게 보이지 않았다라고 묘사했다고 합니다. 그녀는 그 남자들과 술을 마시고, 그들의 속어를 말하고, 주인들에 대해 이야기할 때 꽤 거칠게 말했는데요. 평범한 여성들은 닳고 닳은 것으로 여겨질 수 있지만, 광산 노동자들은 그녀를 이해하고 존경했다고 합니다.
마더 존스는 웨스트버지니아와 콜로라도에서 광산 파업을 지지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구원과 재판 과정에서 미국에서 가장 위험한 여성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고 합니다. 양쪽의 파업은 강경과 정부의 주장으로 순식간에 진압되었지만, 어디를 가든 구경꾼들이 불평을 늘어놓는 등 마더 존스의 명성은 이미 확립되어 있었는데요. 물론 그것은 당연히 따라다녔습니다. 그녀가 노동운동가로 일하기 전에 그녀의 경력이 베일에 가려져 있다는 것을 알고, 그녀의 소문이 미국의 붉은 빛 구역에서 그녀 자신의 사창가를 운영하기 시작한 것은 그때였습니다.
1903년 7월 7일, 마더 존스는 필라델피아에서 뉴욕까지 100마일을 행진하여 100명의 아동 노동자들을 이끌고 아동 노동에 항의했습니다. 3주 뒤 뉴욕에 도착한 이 단체는 시오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을 만나지 못했지만 이후 아동 노동에 대한 인식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1905년, 그녀는 UMW와의 오랜 관계를 조직하였고, 그 이후 사회당과 협력하여 IWW의 창설에 기여하였습니다. 1909년 그는 새로운 대통령인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를 인터뷰했지만 물론 눈에 보이는 결과는 없었는데요. 1911년 지도부의 비리를 규탄하고 사회당을 탈출한 뒤 UMW의 일원으로 노동운동에 복귀합니다.